일본 한국인 검색 결과, 49
구인난에 허덕이는 일본 구인시장 의 허와 실-일본 구직 시장에서의 경쟁력
일본 뉴스나, 방송을 보면, 일본기업이 사람을 못 구해서 난리라는 방송과 보도가 많이 나온다. 이제까지, 파트타이머, 파견사원, 계약직 사원까지도, 전원 정사원으로 고용하겠다며, 과감한 인사정책을 시행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계약사원, 프리터 라는 앞으로의 직업이 불안하다고 느끼는 이들에게 있어서는, 일본기업의 이러한 정사원 고용은 무척이나 반가운 소식이다. 신용카드회사로 유명한 "세존", "유니크로","이케아"," 스타벅스"등 유명한 회사가 파견직원, 계약직 사원 전원을 정사원화 시키겠다는 방침은 "사람이 가치"라는 일본의 숭고한 기업가정신을 보여주는 듯 하다. 또한, 이러한 모습은 아베정권의 경제정책이 성공한 듯한 착시현상마저 보여준다. 유효구인배율이 이미 1을 넘어섰고, 기업은 사람을 구하고 싶..대학교 졸업장은 중요하지 않다. -일본에서는 절대로 학력으로 사람을 평가하지 말라.
내가 일본에 오기 전, 많은 대학 동기들이 대학 졸업후의 진로를 두고, 많은 갈등을 하고 있었다. 모두들, 대기업에 들어가기를 희망했고, 대기업 취업이 확정된 동기들은 부러움, 선망의 대상이었다. 당시, 한국의 채용공고사이트에 기재된 한국 대기업의 연봉을 보면, 기본 3000만원 이상이었다. 나는 한국에서, 아르바이트, 계약직 사원근무를 해본 게 전부였으므로, (내가 능력 없는 놈인지 모르지만, 당시, 나는 하루 12시간을 성실히 꼬박 일해도, 한달에 200만원도 받지 못했다.) 1년에 3000만원을 벌 수 있다는 것은 굉장히 큰 돈을 버는 것으로 생각했다. 그러나, 학력 인플레의 영향인지, 대다수의 대학 동기들은 대학교 졸업자가 최소 연봉 3400만원은 받아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내가 이렇다 할..일본에서 좋은 행정서사, 변호사를 고르는 방법
일본에서 살다보면, 한국에서와 비슷한 경험을 하는 일이 많다. 대부분의 나라에서는 "변호사"가 모든 법무사무일을 처리하는 경우가 많지만, 한국은 일본의 제도와 법을 모방한 탓인지, "변호사"로 통일되어 있지 않고, 변호사, 법무사, 노무사, 행정사, 공인중개사, 세무사 등.. 법에 관한 일을 처리해 주는 각 직업이 나누어져 있다. 일본도 사람 사는 곳이라, 한국에서 공인중개사, 법무사, 변호사를 찾는 일이 있는 것처럼. 똑같이, 변호사, 행정서사, 법무사, 세무사를 찾는 일이 있을 것이다. 아무래도, 한국인이 일본에서 살아가다 보면, "비자문제"가 가장 걱정되고, 당장 해결해야 하는 문제이므로, 비자문제를 주로 다루는 "행정서사"와 접할 수 있는 기회가 많을 것이다. 또한, 비자문제를 행정서사를 통해서 ..일본 취업의 장점.(?)
나는 현실파다. 사람이란, 모름지기, 자신의 경험에 의거하여, 이야기를 하는 버릇이 있다. 나도 마찬가지이다. 일본에 워킹홀리데이로 처음와서,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받은 시급 1,000엔은 나에게 일본이 희망의 나라이자, 나의 새로운 인생을 의미하는 것 같았다. 내가 한국에서 대학교를 다닐때의 시급이 3,000원~3,500원이었으니, 일본은 1시간당 3배의 돈을 벌 수 있는 기회의 나라였다. 그렇게 해서, 나는 일본에서 살기로 결심했던 것 같다. 일본어를 공부하고, 한국인 가게에서 일하다가, 일본 회사에 취업했다. 내가 취업 후 놀랐던 건, 일본 회사의 "월급"이 일반 아르바이트보다 적다는 것과, 워킹 홀리데이 시절에 일했던, 한국인이 경영하는 가게, 이자카야가 일반 일본 회사보다, 대우가 좋았다는 사실이..카부시키 쇼켄
본 블로그의 목적은 "일본에서 살아가는 선량한 한국인의 삶의 방향"에 참고가 되고자 함에 있습니다.